배움터와 놀이터

동계올림픽 윈터히트 메뉴얼 (98.8.30)

상데쥬 2004. 9. 11. 00:14


올린이:wroses (최익창 ) 98/08/30 18:28 읽음:101 관련자료 없음
-----------------------------------------------------------------------------
세가에서 나온 윈터히트 - 나가노 동계 올림픽.

사용키 : 2버튼 조이스틱. 하나는 가는 용도고, 다른 하나는
점프라던가.. 몸조절이라던가 그런 것..

캐릭터 : 여덟명?(안세어봄). 미국과 일본이 올라운드, 일곱명은
나라가 고정, 한명 여자는 원래는 차이나이지만
울나라에서는 한국명으로 나온다. (인터내셔널우먼--)

물론 선택 캐릭터는 일본 혹은 미국으로 하는 것이
좋다. 다른 캐러는 한가지 종목만 특출나게 잘하는
편이다. 일본 미국 캐러는... 올라운드..

종목 : 이것도 여덟.
스피드 스키, 스키 점프, 다운힐, 숏트랙
슬래롬, 봅슬레이, 스피드 스케이팅, 크로스 컨트리 스키

각각은 한계치가 있어 그것을 넘어서야 한다.
모든 올림픽 게임이 그렇듯, 이것은
'잘 갈아야 한다.' '잘 눌러야 한다.' '잘 맞춰야 한다.' 다..
매니아를 위한 게임이라 생각된다.
8종 경기 요소도 있어서, 매 경기 후 점수가 체크된다.
나중에 그것을 합산한다.

1.
스피드 스키 : 일직선을 내려오는 경기이다. 100미터 달리기 정도이다.
맨 먼저 하는 경기. 플라잉 2번까지. 초단순..
캐러는 2명이 나온다. 시작시 안쪽, 결승점에서 왼쪽이 1P.

그냥 손가락으로 타타타타 눌러도 된다.
한계타임: 15초.

비법: 버튼을 손으로 가는 재주 외에 필요한 것은 스타트이다.
약간 빠른 듯한 스타트 감각이 필요하다.
스타트 하나로 0.3초 정도는 극복 가능하다.

일반적 : 12.050~12.450
고수 : 11.34520~11.790


그 후에 점프, 다운힐, 숏트랙 세가지를 선택 가능하다.
처음 선택 경기종목은 각각 95미터, 44초, 47초가 한계이다.
다음 경기종목은 100미터, 40초, 46초,
마지막은 110미터, 36초, 45초(일거다.)
물론 원코인 더 올리면(컨티뉴란 말이쥐..) 욜라 한계치가 완화된다.
원코인 패스는 다운힐-숏트랙-점프를 권한다.

2.
스키점프: 두말할 것 없이 갈면서 내려오다가
점프순간 다른 버튼으로 각도조절하면 된다.
착지시에 (텔레마크?) 역시 그 각도조절한 버튼을 누른다.

버튼으로 각도조절을 위해 누르는 동안에도 캐러가 전진하므로
반스키 간격일때 눌러주면 좋다.
일찍 누르면 많이 못나가고, 늦게 누르면 애가 허우적대면서
뜨기 때문에 역시 많이 못나간다.

29도가 가장 좋다. (실전에서)

비법: 처음에는 천천히 가는 것이 좋고 완사면에서 빨리 갈지어다.

일반적: 100~124미터
고수: 143~150미터

3.
다운힐: 갈면서 내려오면 죽도밥도 안되는 종목이다.
세군데 점프대가 있고, 코스는 회전이 약간 심한 편이다.
길을 그려주면 좋겠지만.. 몸으로 부딪혀 봐야 안다. ^^
물론 당연하지만, 깃발을 제끼고 가는 종목이 절대 아니다. ^^

진행방향은 조이스틱으로 한다. 위로 밀면 고속이 된다.
살짝살짝 방향을 주거나, 크게 아치를 그릴수도 있다.
물론 크게 아치 주면 속도가 줄어든다.
처음 시작할때만 조금 가는 버튼을 누른다.
점프하는 곳에서는 점프 바에 오는 느낌이 들면 누른다.
스키점프하고 비슷해서, 알맞게 누르면 열라 많이 날아가고,
늦게 누르면 조금 날아간다. 늦게 누르면....캐러가 구른다..
벽에 부딪히면 속도 장난 아니게 준다.

비법: 부딪히지 않고 가는 것, 그리고 1,3에서의 점프가 모든 것을 가른다.
권장 점프 위치는 대략 오른편 1/6 위치이다.
1번 점프는 스타트 지점에서 보인다. 두 가지 점프법이 있는데,
하나가 1/6위치이고, 다른 하나는 1/3 위치이다. 1/6에선 평행으로
날아갈 경우, 아래현 코너의 왼쪽 벽에 부딪힐 가능성이 85%정도이나
속도는 그리 줄지 않는다. 2/3위치는 방향을 오른쪽을 틀면서 날면
멋지게 중앙에 안착하나 조절이 까다롭다.

2번 점프는 소점프이다. 여기까지 오는데 두 개 코너를 지나는데,
둘다 N자 코스이다. 대개의 캐러는 첫번째 N코스에서 전의를 상실
한다. 욜라 잘박는다. 코너가 나올때쯤 2/3 위치에 있다가 살짝
오른쪽으로 틀고 틀었다는 느낌이 들면 바로 왼쪽으로 돈다.
두번째 N은 성실하게 돌면 된다. 잔머리 굴리지 말고..

3번 점프는 그 중요도에서 최고를 차지한다. 1/6 위치 (오른편에서)
에서 (아님 그 근처) 점프후, 직선으로 활강할 수 있다. 역 C자형을
가로지르는 형태인데, 이것 하나가 0.5초를 가른다. 빌빌거리면
최고 4초를 지연시킨다.

초보 : 50초 --;
일반적 : 38~43초
고수 : 33.25~34.9초

4.
숏트랙: 한국사람치고 안본 이가 없으리라....
머리쓰면서 올림픽처럼 그코스 그리며 가는 것은
실전상 불가능하다.

캐러는 네명 나온다. 우리 캐러는 맨 바깥쪽에 선다.

가는데 자신 있으면 갈고..
자신 없으면 예전 자동차오락할 때의 기억을 되새겨라.
자동차 오락 안 해 보았으면 원심력과 지름과 원주길이 비례를...

비법: 맨 처음, 그리고 코너에서 상대를 따돌리는 것이 중요하다.
코너링은 1. 계속 갈면서 바깥에서 안으로 확 도는 법과,
2. 약간 바깥으로 갈때 속도를 줄였다가 확 안으로 도는 법.
마지막에 버튼 다른 것을 누르면 그 유명한 '황금의 발내밀기' 가 된다.

초보 : 46초~~~
일반적 : 45.0~45.99
고수 : 43.2~44.05

네 종목을 마치면 다음 네 종목이 온다.
세종목만 선택 가능한데.. 크로스 컨트리 스키는 7개 올 클리어시에 나온다.
보스 종목인 셈이다.^^
원코인으로 클리어시에..
슬래롬 봅슬레이 숏트랙 : 1차 선택시 29, 45, 35.5
2차시 28, 44, 35.0
3차시 27, 43, 34.5

5.
슬래롬: 재치있는 자만이 통과할 수 있다.
우리가 많이 보는 회전 종목이다.
깃대를 제치는 순간 가속이 된다. 버튼누르는 타임을 놓치면,
일찍 지나갈 경우 가속이 안되고, 늦게 지나가면 깃대박고 속도 준다.

깃대가 장난 아니게 많으므로 ...

경기는 2명이 한다. 스피드 스키와 같다.

비법: 비법이라고 할만한 게 없다. 감이다..
다만, 형태가 약간 사이를 몇개 아래 거의 붙은 것 2~3개 그룹이다.
아래쪽에서 '욱' 거리면서 처박히기 싫으면 거의 붙은 것은
'흡합합--;' 식으로 안보고 누르는 것도 괜찮다.

고수와 일반의 차이가 역실히 드러나는 곳이다.
초보: 36초~~
일반적 : 28~32초
열심히 갈아대는 사람 : 28초대이다.....
고수 : 24.6~26.5

6.
봅슬레이 : 쿨 러닝으로 많이 알려진 게임이다.
종목은 2인승 봅슬레이로서, 영롸처럼 스타트가 모든 것을
좌우한다.

하계 올림픽을 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아래 게이지 바가
번쩍 번쩍 식으로 올라갔다 내려간다. 타이밍을 맞추어서
높을 때 눌러서 갈아야 빨리 지나간다.

처음 갈다가 타는 곳까지의 시간에서 반 이상이 결정되고,
나머지는 벽에 얼마나 부딪히느냐로 결정된다.

쿨 러닝같은 '디비지는' 사태는 거의 없다. 마지막 코너
지나갈 때만 그럴 가능성이 있다.

비법: 추측으로는, 번쩍거리는 간격은 1초이다.
맨 처음 번쩍일 때가 가장 게이지가 높이 올라간다.
그러나 정말 번개같다.... 2번째부터는 점점 번쩍임이 눈에 보이면서
대신 게이지는 낮게 올라간다. 2번째에 스타트를 추천하며,

코너링은 샥샥~ 식으로 처음에 잘 맞추면 소조절을 할 필요 없다.


초보: 처음 빨간 선 5.62초~, 도착 48초~~
일반적 : 처음 빨간 선 4.82~초 도착 45초.
고수 : 처음 빨간 선 4.08 혹은 4.26초 도착 41.3~43.35초

7.
스피드 스케이팅 : 덴 젠슨을 기억하시는지...
직선코너에서 많이 갈고..
곡선코너에서는 속도조절을 해야 한다.
게이지 바가 두개 나온다. 위는 속도고 그 밑의 것은
속도스펙트럼이다. 코너 돌때는 노란 스펙트럼에 속
도 바가 나와야 한다. 이것 안넘어서면 욜라 느리고,
이것 넘어서면 캐릭터 특유의 비명을 지르면서 ^^
미끄러진다. 고수와 하수의 차이는 이 코너링에 있다.

비법 : 이 역시 초반스타트가 욜라 중요하다.
다음 중요한 것이 코너링 처음 들어갈 때의 감속이고
제일 중요한 것은 코너링 나올때의 가속시점이다.

바깥쪽 코너링시에는 처음 들어갈 때 빨간 게이지에서 들어가도
된다는 보고가 있었다. 안쪽 코너링은 나오기 조금 전에서 가속이
가능하다. 고수들은 대개 여기서 일명 '고어웨이~' 의 비극을 겪
는다.

일반: 36~37초
고수: 33.33~34.40
(미끌 한번에 0.8초 정도 더 들어간다.)

드디어 대망의 마지막 경기. 크로스 컨트리 스키이다.
하계 올림픽의 마라톤과 같은 정도지만, 그렇게 하면 오락실 말아먹을
것이므로 5분 정도 타임을 두게 한다.

8.
크로스 컨트리 스키 :
말 그대로이다.. 설명할 필요는 느끼지 못하겠다.
게이지 바가 2개 나온다. 위는 속도, 아래는 체력이다.
빨리 누르면 속도는 올라가나 체력은 줄어든다.
체력 게이지는 바 네개가 붙은 형태다. 체력이 바닥나면
애가 정말 '똑 사세요' 보다 더 비참한 모습을 한다.

게임에는 페널티도 나온다. 나오는 이유는 아직 잘 몰게찌만,
일단 1등에겐 없는 것으로 보이고... --;
에너지 바닥상태를 오래 했거나, 벽에 처박거나..
상대 중심을 쑤시거나 등등등...
페널티를 먹으면 1초? 인가가 더해진다.

아래쪽에 나오는 그림이 하나 더 있는데, 바로 고도이다.
높은 언덕 2개, 낮은 언덕 2개, 그리고 코너도는게 몇몇 있고,
완사면이 언덕 앞뒤로 존재한다.

당연한 말이지만, 언덕 넘을려면 힘이 허벌나게 든다.

여기서 피튀기는 - 상대의 고혈을 짜내는 - 수법이 나온다.
비법:
완사면에서 충분히 힘을 써서 빨리 간다. 컴퓨터는 캐릭터를
따라간다. 경사면에서, 컴퓨터 캐릭터는 놀라운 짓을 한다.
캐릭터를 밀어주는 것이다!!! 그러면 힘이 샘솟는 캐릭터..
삼단 정도만 차면 이제 막 갈아서 넘어서고, 등등등..

경사면에서는 벽에 붙어 가는 것이 좋다. 자동으로 캐릭터
가 알아서 가는 듯하다. (진행방향 오른쪽..)

초보: 5분 10초
일반: 4분 55초~5분 03초
고수: 4분 43초~4분 51초

캐릭터중 중요한 이들..

1. 미국 ~ 릭 블레이드.
올라운드 타입인데 .. 키가 커서인지 슬래롬 타이밍이 다른 듯..
예상외로 크로스 컨트리 스키에서 힘이 잘 빠진다.
좋은 고함은 '허아~~' 비명은 '욱', 그리고
스피트 스케이트에서의 그 유명한 '고어웨이~~'
일부러라도 '고어웨이~'는 들을 만 하다.

2. 일본 ~ 조이 쿠도우
올라운드 타입.. 야멸차게 생겼다.
좋은 고함은 또한 유명한 '떴다~~' 비명은 '이익~~'
스피드 스케이트에서의 비명은 '이예이~~'

3. 욜라 큰 놀웨이하고.. 누군가..
크로스 컨트리하고 스키점프에서 작살이다.
크로스 컨트리에 얘네들이 뜨면 절대로 1위해라. 신기록 난다.
욜라 힘 좋고 억수로 잘 밀어준다.

스키점프에서는... 그 무서운 w=mgh=1/2mv^2.....

축하한다. 당신은 게임 클리어시 점수가 어쨋건 시상대 1등
에 있는다. (아마도 참가자가 당신 뿐인 듯한.. 아니면 다 실격이든가..--)
그리고 당신이 이룩한 기록과 함께 경기 단면이 조금씩 나온다.
세계 신기록을 냈으면 WR이라고 반짝반짝 점멸한다.

그리고 합산이 나온다.

초보: 엄청난 돈들임에 여기까지 안간다.... --;
일반: 8500~9400
고수: 107450~131200

원코인 클리어라면
스피드 스키 - 다운힐 - 숏트랙 - 스키점프 - 스피드 스키 - 슬래롬 -
봅슬레이 - 크로스 컨트리 스키를 추천한다.
어차피 뒤쪽에는 한번 실수는 원코인 +이므로 --;


만든이: 최익창.(짱) 게임에서 CIC
놀이 : 8월10일~8월 30일. 대구중구의 우주?오락실(보세골목 위)

경기중 본 기록자 :
스피드 스키: JJU 11.650
스키 점프: HEO 150.65, KSK 148.95
다운힐: CIC ^^ 33.56, 33.71
숏트랙: 999 42.** ?

슬래롬: JHC --+ 24.67
봅슬레이: JHC 41.6* CIC 42.03
스피드 스케이트: MMM --; 34.03
크로스 컨트리 스키: JHC 4.43.**

JHC는 짱이의 친구이다. --;
MMM은 이름선택시 그냥 툭툭 누르면 선택되는 이름이다. --;


9월 4일 세번째 버젼업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