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VER CAFE COFFEEMARU

캔 커피 이야기 [2006.03.10 20:34]





1. 캔

캔이란?

- 금속판으로 제조한 용기, 넓은 의미로는 금속 외 판지나 플라스틱과 결합, 혹은 플라스틱제품의 용기

- 몸체(Body) 와 뚜껑(End), 바닥(Top) 으로 구성

- 결합 수로서는 2 Piece Can 과 3 Piece Can 의 두 종류

2 Piece Can ?

- 몸체를 압연 (draw and ironing) 하여 자체 바닥을 형성하고 이음새(side seam) 가 없음.

--콜라,사이다캔의 모양

-- 몸체에 이음새가 없으므로 외관상 아름답다. 부대 비용이 줄어든다.

- 가스 함유물, 소용량 제품에 사용

3 Piece Can?

- 몸체, 바닥, 뚜껑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 몸체에는 이음새가 있음.

-- 파인애플, 꽁치통조림 등등의 모양

-- 성형방법에 따라서 모양을 자유롭게 (굴곡을 준다거나 무늬를 넣는다거나) 만들 수 있다.

- 진공 상태, 고온 고압 살균이 필요한 제품에 사용

뚜껑이란?

- 몸체와는 권체(Double seam) 을 이루어 결합하며 밀봉성을 유지하는 것

- 오프너가 필요한 Fixed End 와 자체적으로 열수 있도록 되어 있는 Easy Open End 류로 나뉨

Easy Open End?

- Fraze 가 고안. 뚜껑에 흠(Score) 을 그어 뜯어낼 수 있도록 Tab 을 만듬.

- 현재는 Stay On Tab - Easy Open End 가 대세

-- SOT-EOE 는 탭을 따더라도 탭이 떨어져나가지않고 뚜껑에 붙어 있음 = 환경보호

-- 예전 쌕쌕 오렌지 캔이 EOE 라면 요즘 대부분의 음료캔은 SOT-EOE 임

권체란?

- 몸체와 뚜껑을 결합하는 방식

- 몸체의 벽면을 뚜껑이 말아서 안으로 감싸 들어가는 방식으로 두 번에 걸쳐 작업이 진행되어 이중권체로 불림

2. 캔커피

크기와 용량

- 53 X 104 mm , 175 ml 가 일반적.

-- 지름 53 mm 은 남녀노소 공히 한 손에 쥘 수 있는 정도

-- 175ml 는 일반적인 커피 한 잔의 양 (170~180ml)

재질과 형태

- 철, 알미늄 (통상 몸체 철에 뚜껑 알미늄이나 모두 알미늄인 경우도 있음)

- 2 Piece 와 3 Piece 모두 있음

-- 2 Piece 는 알미늄인 경우가 많으나 A 사의 캔커피는 철제 2 Piece 임

Easy Open End 형태

- 1형 : 탭 쪽을 중심으로 양쪽 바깥 부분이 안으로 말려 들어가며 탭 쪽은 별도로 흠을 파서 따로 안으로 말려 들어감 (윗 사진)

-- 1형은 제대로 연마가 안 되어 있을 경우탭을 따고 나서 마실 때 입술이 긁힐 수있음 (실제 긁힌 적 있음)

- 2형 : 손잡이 양 쪽으로 흠을 파서 안으로 말아넣고 탭 쪽은 공히 둥그렇게 말아넣음 (데자와 등에서 볼 수 있음)

제품유형 : 액상커피

- 원두 커피에서 커피액을 추출하거나 인스턴트 커피를 물에 녹여 만든 커피액

- 감미료, 향미 성분, 기타 물질을 첨가한 것을 포함.

원재료 : (표기된 것)

- 커피 : 고형분 , 농축액, 농축파우더 , 추출액, 인스턴트커피

- 우유 : 탈지분유, 전지분유, 유청분말

- 감미료 : 백설탕, 액상과당

- 첨가물 : 탄산수소나트륨, 자당지방산에스테르, 계피액기스

- 기타 : 질소충전

-- 질소충전은 2 Piece Can 에서 나타남. 내압 유지용

커피 비율 :

- A : 고형분 1.05%

- B : 파우더 0.96% (고형분 95%이상)

- C : 파우더 1.65% (고형분 95% 이상)

- D : 추출액 3.0% (고형분 33%)

- E : 농축액 : 0.52% (고형분 32.45%)

- F : 고형분 0.75%

표시된 보관, 음용상의 유의사항 :

- 기본 유통기간 : 제조일로부터 12개월

- 유통기한 표시방법 : 유통기한 별도기재, 혹은 제조일자 별도기재 및 유통기간 명기

-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에 얼지 않게 보관

- 개봉 후 가급적 빨리 음용 요망

- 온장상태에서 2주 이상 보관 금지 (온장 : 섭씨50~60도)

- 용기가 변형, 팽창, 손상되었거나 내용물이 변질되었을 경우 음용 금지, 내용물 손상우려

- 전자레인지 또는 불에 직접 데울 수 없음, 용기변형 우려

- 차게 했을 때 캔 상층부에 우유지방분이 생길 수 있음, 품질에는 이상 없음

- 침전물이 생길 수 있음

- 과도하게 흔들지 말 것, 개봉시 내용물이 튈 수 있음 : 질소충전된 2 Piece Can

- 온장상태에서 보관시 뜨거우므로 음용시 데지 않도록 주의 (PL?)

가격대 (동일 장소)

- 철제, 알미늄 캔 : 250~400 원대

- 플라스틱 캔 : 600~800 원대

- 유리병제 : 2000원 이상 (조사대상에서 제외)

관능 검사 :

- A : 청량하고 깔끔하다. 뒷맛이 달다. 포장 색상이 시원하다.

- B : 매우 달다. 바디감 있다. 맛이 산뜻한 것은 아니다.

- C : 진하다. 구수하다. 커피와는 다른 별도의 향이 난다. 뒤에 쌉사름한 느낌이 든다. 포장 색상이 강한 느낌을 준다.

- D : 연하다. 물같은 느낌이고 바디감이 거의 없다.

- E : 우유 느낌이 많이 든다. 카라멜, 설탕의 단맛이 느껴진다. 볼륨이 느껴진다. 뒷맛이 조금 쓰다. 포장 색상은 부드럽다는 인상이다.

- F : 단물 같은 느낌이다. 향이 적고 연하다. 눈으로 보기에도 묽다.

자당 에스테르란?

- 식품용 비이온 계면활성제

-- 기름 성분을 물에 잘 풀어줄 수 있음

- 수용액상 단백질의 변성 방지, 침전 방지

탄산수소나트륨의 역할?

- 산도 보정이라고 함 == 보통 산도 보정은 식품보존용으로 산도를 낮추는 게 일반적이나 탄산수소나트륨은 알칼리성이므로 약간 의문. 캔 부식 방지용으로라면 말은 되지만, 그 외 기능이 있는지는 모르겠음.

==============

2004년 자료이므로 지금은 다를 수 있습니다. -_-;;